반응형

 

기존에 토미카 제품을 몇개 가지고 있긴했지만 유명한 전문 다이캐스트 브랜드의 자동차 모델을 사고 싶어 알아보니 생각보다 가격이 높았습니다.

그래서 일단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맘에 드는 모델을 구입해봤습니다.

잠시 다이캐스트에 대한 정의를 보자면 

다이캐스트(Die-cast) 모델은 금속 주조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정교한 모형이라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주로 아연 합금인 자막(ZAMAK)을 사용하여, 고압으로 금형에 주입하고 빠르게 굳히는데 이 방법은 높은 정밀도와 강도를 갖춘 모델을 대량 생산하는 데 효과적이여서 주로 자동차, 항공기, 군사 장비 등의 축소 모형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고 합니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고 알만한 브랜드로 Hot Wheels와 토미카가 있겠네요.

 

제가 알리에서 구매한 제품은 2개의 픽업트럭 모델이였는데요 FORD F150 랩터와 RAM TRX를 베이스로한 모델입니다.

광군제 전에 구매한 제품인데 광군제에 올라온 가격과 차이는 많이 안나더라고요. 사실 알리익스프레스 광군제 할인이 평소할인하는 금액과 차이가 안나는 느낌이긴 해요. 

포장상태

각 제품의 판매자가 다른데 랩터는 박스에 들어있고 TRX는 그냥 비닐 포장이더라고요. 금속제품이라고 해도 플라스틱 파츠들도 있는 제품이라 걱정했는데 다행히  제품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비닐을 뜯자마자 제품이 보여서 놀랐네요.

 

RAM TRX

본체

 

전면과 측면

드림카인  RAM픽업트럭 실제 살 수 없어 모형으로 대체하는데 맘에 드네요 역시 제가 생각하는 픽업트럭은 검은색이 진리인듯 하네요.

바퀴도 문제없이 잘 붙어 있고 파츠들도 문제 없고 도색도 나름 잘 되어 있습니다. 

파츠 기믹

짐칸의 파츠들을 보면 단순히 모양만 갖추고 고정된 형태가 아니네요. 가방은 여닫을 수 있고 사다리는 폈다 접업다가 되고 삽과 도끼도 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적재함의 문도 열 수 있습니다. 

트렁크 내부

적재함 파츠를 빼보면 스패어 타이어가 들어있는데 둘다 고무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떼어내다가 고정하는 부분이 부러져 버렸어요. 신경써서 뺐는데 앞쪽이 잘 빠지지 않아 순간적으로 힘들줬더니 허무하게 부러졌는데 저 부분은 약하게 되어 있더라고요. 

실내

문은 4개 모두 열 수 있게 되어 있고 실내 모습 구현도 꽤 잘되어 있는거 같네요. 

하부

하부는 기본적인 자동차의 모습을 심플하게 구현했습니다.

중간쯤 하면 하얗고 얇은 플라스틱 조각이 있는데 건전지가 들어가는 제품이고 건전지가 포함되어 있다면 저렇게 많이 해놓죠.

건전지가 소모되는걸 막아주는 거니까 그냥 빼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아무리 둘러봐도 버튼같은 없는데 어디에 건전지를 사용하는걸까요?

후드

차의 앞부분 하단에는 버튼처럼 돌출된게 있는데 이걸 누르면 뭔가 동작하는건가 했더니 후드를 열기 위한 버튼이더라고요.

열어보면 엔진이 보이고 기타 부품들이 심플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중간중간 도색이 있었다면 더 좋았을거 같은데 조금은 아쉽네요.

발판

대형suv나 픽업트럭에서 볼 수 있는 발판을 구현했습니다. 수동으로 밀어서 빼거나 넣으면 됩니다.

외형만 보고 구매한 제품인데 생각보다 많이 가동률, 파츠의 구성이  만원정도 하는 제품이 맞나 싶을 정도로 놀라웠습니다.

그리고 건전지의 역할은 소리와 라이트를 켜기 위함이라고 상품설명이 되어 있는데 어떻게 켜야 하는지는 나와있지 않았습니다.

여기 저기 찾아보다 알게 된 동작을 위한 키는 바로 앞문이였습니다.

양쪽문의 소리가 다르다는 점이 특징 중 하나겠네요. 소리는 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F150 RAPTOR

 

포장상태

그래도 조금 더 가격이 높아서 인지 스티로폼 박스에 담겨져 왔네요.

본체외형

랩터는 흰색을 선택했는데 역시 픽업은 검은색인가봐요.

6륜모델인데 웹서핑을 해봐도 실제 존재하는 모델은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역시 외형은 제법 비슷하게 나왔네요. 

본체외형

옆모습은 의외로 어색하네요. 쇼바를 튜닝해서 차체를 높였는데 그와 비례한 휠의 사이즈를 사용하지 않아서 일까요? 

쇼바는 형태만 있는 실제 스프링은 아니지만 나름 도색을 해놓은 점은 칭찬할만하네요. 다만 퀄리티가 그렇게 좋지는 않습니다.

뒷모습은 적당히 비슷한 모습으로 잘 나왔습니다.  

본체외형

TRX와 마찬가지로 4개의 문과 적재함의 문까지 모두 열 수 있습니다.

TRX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두 모델다 문은 단차 일정하고 열고 닫을 때 단단히 잘 잡아주는 느낌입니다. 

그런데 랩터는 핸들이 안보입니다. 핸들이 있어야 할 자리에 구멍이 있는걸로 봐선 조립과정에서 빠졌거나 누락된게 아닐까 생각되네요. 

 

기타 파츠

랩터는 루프탑 텐트, 적재함 덮개, 가방, 서핑보드, 이름모를 부품으로 파츠 구성이 되어 있는데 하얀색 가방은 열고 닫는게 가능합니다.

적재함 덮개는 루프탑 텐트를 설치하기 위함인데 텐트를 뺀다면 덮개 자체가 예쁘지 않아 텐트 설치가 필수 인거 같습니다. 아니면 둘다 빼거나

루프탑 텐트

루프탑 텐트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확실히 싼티가 납니다.

그래도 모양은 나름 잘 구현됐다고 생각됩니다.

루프탑 텐트

텐트는 삼면의 문만 열수가 있게 되어 있네요.

텐트 내부에는 침대와 테이블, 의자가 구현되어 있습니다. 저렴한 느낌을 팍팍 주지만 그래도 모양은 잘 구현해 두었네요.

후드

랩터 역시 후드를 열 수 있습니다.

TRX는 바닥에 버튼을 눌러서 여는 형태인데 랩터는 양쪽 라이트 테두리 상단이 살짝 들어가있어 후드를 손가락으로 당겨 여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후드 내부는 랩터가 더 잘 구현했습니다.

쇼바

옆에서 보면 쇼바는 모양만 만들어두고 도색을 한 형태인데 아래부분을 보면 실제로 스프링을 넣어 두었습니다. 모양만 내는게 아니라 손으로 눌러보면 위아래로 잘 움직이는걸 볼 수 있습니다.

랩터 역시 하단에 보면 건전지를 넣을 수 있게 되어 있는데 건전지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아쉽네요.

 

두 제품 다 생각보다 괜찮은 퀄리티를 보여줬는데 정식 박스 포장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벨로스타 U22(전기자전거)와 메리다 사일렉스 700(그래블)의 안장을 바꾸기 위해 한동안 인기 있던 RYET3D 안장을 구매해봤습니다.

모델의 종류가 생각보다 많아서 놀랐는데 유튜브에서 가장 많이 나온 모델은 전체가 다 벌집같은 3d구조가 다 보이는데 빕의 보풀이 생긴다는 리뷰들이 있어서 엉덩이가 닫는 부분은 소재로 덮여있는 모델로 선택했습니다.

 

모델명은 RT06 3D (왼쪽)와 RYET ULTRA 3D(오른쪽)라고 되어 있는데 ULTRA 모델은 확실하지가 않네요.

가격은 50.91달러 와 64.83달러를 주고 구매했습니다.

달러라 환율에 따라 가격은 바뀔수도 있고 알리에서 검색하면 더 저렴하게도 구매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안장 포장샷

 울트라 모델이 가격이 조금더 비싸서 인지는 모르겠지만 포장이 달랐습니다. 뭔가 정품과 가품같은 느낌이랄까요. 

알리에서 사는 제품은 포장을 딱히 신경쓰지않지만 두 제품을 동시에 구매해서 받아보니 확실히 느낌은 다르네요

 

내부포장

RT06은 벌크 박스 같아 걱정했는데 안장은 뽁뽁이에 잘 담겨 왔네요. 울트라 모델도 뽁뽁이로 잘 감싸서 가방안에 담겨왔습니다.

 

안장 기본 모양

안장의 모양은 위의 사진 처럼 생겼습니다.

울트라가 길어보이지만 제원은 RT06은 너비 145mm 길이 245mm 울트라 모델은 너비 143mm 길이245mm 로 길이는 갖고 너비가 약간 작습니다.

개인적으로 U22에 장착할 RT06은 생활형 자전거나 미니벨로와 어울릴거 같고 사일렉스에 장착할 울트라 모델은 로드나 그래블에 잘 어울려 보입니다. 

 

안장 바닥

둘다 카본으로 만들어져있는 안장이지만 바닥을 보면 다르게 생겼습니다.

울트라는 카본 소재 제품들에서 흔히 볼수 있는 패턴인데 RT06은 대리석 같은 불규칙한 패턴인데요 

상품설명에 상세한 내용이 없어서 확실하지는 않지만 RT06의 패턴을 봐서는 포지드 카본이지 않을까 싶네요

제작방식의 차이일뿐 둘다 카본이라고 합니다.

 

쿠션

안장의 쿠션감입니다.

RT06이 확실히 부드러웠습니다. 눌러보면 더 적은 힘으로 많이 들어가는게 느껴졌습니다. 

울트라는 조금 더 단단한 느낌이지만 탄력이 조금 더 좋다는게 확실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탄력이 있는게 더 맘에 드네요.

 

무게

두 모델 다 상품 설명상으로 175g (오차 +/- 10g) 라고 합니다.

실측 무게를 보면 RT06은 오차 안에 들어오는 무게로 준수했습니다.

기대했던 울트라는 오차가 무려 +20g 이였습니다. 허용 오차보다도 10g이 오버 되었습니다.

알리에서 구매한 상품이라 그러려니 하고 넘어갈수도 있지만 유명세에 비해 많이 아쉽네요.

 

이전 사용 안장 무게

교체 대상 안장들의 무게를 측정해봤습니다.

왼쪽은 u22의 기본안장이고 오른쪽은 사일렉스 700의 기본 안장입니다.

생각해보 많이 무겁습니다. 각각 185g, 160g 경량화 했네요

 

교체샷은 따로 찍지를 못했네요.

u22는 제 자전거가 아니기에 타보지 않아서 RT06은 경험해보진 못했지만 사일렉스는 교체 후 바로 30km정도 주행해봤습니다.

주행 결과 이전 안장보다는 편한감이 있었습니다. 다만 안장설치할때 포지션을 잘못 잡아서 그런지 잠깐씩 섰을때나 다시 출발할때 엉덩이를 찌르거나 안장 패드에 걸리거나 했는데 앞부분의 플라스틱이 조금 튀어나와서 단단하고 조금 날카로운 느낌이있었습니다. 안장으로 조금 뒤로 위치시키면 걸리적 거리진 않을거라 해결될 문제인거 같긴하지만 마감이 조금 아쉽다고 해야 할까요?

그 외에는 맘에 들었네요. 주말에 장거리 주행을 해보면 또 다른 느낌이 나겠지만 구매해서 사용해볼만한 안장인거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1년에 한두번 방문하는 코엑스 팝마트

들리면 무조건 한두개의 피규어를 사서 나오는데 이번에 피치라이엇이라는 시리즈가 맘에 들어 픽업해왔습니다.

 

팝마트 피규어는 가챠처럼 랜덤이라 뜯어서 확인할때 은근 기대와 긴장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바로 뜯지 않고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같은 제품을 구매해 비교해 보기로 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가 한창 인기가 있어 국내 커머스업계도 긴장하게 했지만 짝퉁 이슈가 많기에 비교가 해보고 싶어졌습니다.

 

그래서 검색 후 바로 구매해 봤습니다.

가격은 요즘 달러가 강세라 환율탓에 국매에서 사는게 더 쌌어요. ㅠㅠ 그런데 만약 짝퉁이라면.......

중국제 피규어는 자체 퀄리티보단 도색이 많이 떨어지는지라 많이 싸보이는 단점이 있죠.

 

왼쪽은 국매 팝마트에서 구매한 상품이고 오른쪽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매한 제품입니다.

 

 

박스는 어디를 봐도 완전 동일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온 제품은 조금 찌그러졌지만요.

박스만 봐선 동일한 제품이라고 판단이 되더라구요. 그래도 내용물은 확인해봐야겠죠.

 

국내에서 구매한 제품은 Frankie The Rhythm이 나왔네요. 원하는 모델은 아니네요.

 

하지만 실물은 맘에 드네요. 퀄리티도 좋고 흔들림없이 균형도 잘 맞았어요. 드럼치는 멤버입니다.제가 원하는건 기타리스트였지만 만족합니다. 고양

 

알리에서 구매한 제품을 은근 기대하게 됐는데 전혀 관심없던 모델이 나왔네요. Frankie The Boss라고 하네요. 

이전에 열어본 아이도 Frankie인데 머리색도 같은걸 보니 포지션만 다르고 같은 아이인가봐요. 

 

도색이 동일하게 잘 되어 있네요. 이 아이는 스텐드 없이 세워야 하기에 균형이 중요한데 제품은 깔끔하게 잘 만들어진거 같아요. 팝마트 제품은 국내판과 동일한 듯 합니다. 결국엔 같은 제품이라는거겠죠. 팝마트는 중국에 본사가 있어서 짝퉁을 팔지는 않는거 같아요.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가장 저렴한 제품을 구매했지만 결국엔 국내판보다 비싸게 샀다는게 가장 큰 단점이네요.  카드 수수료 무시 못합니다.

 

국내 팝마트에서 제품을 더 이상 구할 수 없다면 알리익스프레스를 이용하는것도 괜찮겠지만 제품이 있다면 국내에서 구매하는걸 추천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