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de.js 개발에서 TypeScript를 도입할 때 가장 먼저 마주치는 고민 중 하나는 바로 이것입니다.

TypeScript를 전역으로 설치할까? 로컬로 설치할까?

이 글에서는 두 방식의 차이점, 장단점, 실제 추천 시나리오까지 한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전역 설치란?

전역 설치는 시스템 전체에 TypeScript를 설치하여 어느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도 tsc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입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설치합니다:

npm install -g typescript

설치 후에는 터미널 어디에서나 다음 명령이 작동합니다:

tsc --version
tsc yourfile.ts

전역 설치의 장점

  • tsc 명령을 터미널 어디서든 바로 쓸 수 있다
  • CLI 툴 사용 시 빠르게 실행 가능
  • 전역 설정에 익숙한 개발자에게 편리

전역 설치의 단점

  • 버전 충돌 가능성: 프로젝트마다 TypeScript 버전이 다를 경우 문제 발생
  • 팀 협업에서 위험: 다른 개발자의 시스템에 같은 버전이 설치되어 있다고 보장할 수 없음
  • CI/CD 파이프라인에서 재현 불가

✅ 로컬 설치란?

로컬 설치는 해당 프로젝트 폴더 안에 TypeScript를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보통 개발 의존성으로 추가합니다:

npm install --save-dev typescript

설치 후에는 전역 명령 대신 npx를 사용해 실행합니다:

npx tsc
npx tsc --init

로컬 설치의 장점

  • 프로젝트별로 TypeScript 버전을 고정할 수 있어 안정성 확보
  • 모든 팀원이 동일한 환경에서 작업 가능
  • CI/CD 환경에서도 100% 재현 가능
  • package.json만 보면 어떤 버전이 쓰였는지 알 수 있다

로컬 설치의 단점

  • tsc를 직접 실행하려면 npx 또는 경로를 지정해야 한다
  • 여러 프로젝트를 오가며 전역 설치처럼 쓰고 싶으면 약간 번거로움

🔍 어떤 상황에 어떤 설치를 써야 할까?

  • 혼자 실습하거나 빠르게 테스트하는 경우
    전역 설치도 무방합니다.
  • 팀 프로젝트, 버전 관리, 협업, CI/CD 구성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로컬 설치가 권장됩니다.

요즘 대부분의 실제 프로젝트는 typescript를 로컬로 설치하고 npx tsc 또는 tsc npm script로 실행합니다.


🧙 마무리

전역 설치는 빠르고 편리하지만, 협업과 재현성을 위해서는 로컬 설치가 훨씬 안전하고 추천되는 방식입니다.

최종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추천합니다:

  • CLI 툴 실습이나 글로벌 테스트용 → 전역 설치
  • 실제 서비스, 팀 프로젝트, 오픈소스, CI/CD → 로컬 설치 (with --save-dev)

🎯 참고 명령어 요약

# 전역 설치
npm install -g typescript

# 로컬 설치
npm install --save-dev typescript

# 로컬 실행
npx tsc

 

728x90
반응형
반응형

Anaconda 설치 후 기본적으로 base 환경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죠. 하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필요할 때만 Anaconda를 활성화하고 싶어 해요. 이번 글에서는 Anaconda의 base 환경 자동 활성화를 비활성화하고, 수동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


1️⃣ base 환경 자동 활성화란?

Anaconda를 설치하면 터미널을 열 때마다 기본적으로 base 환경이 활성화됩니다. 이는 터미널 시작 시 ~/.bashrc나 ~/.zshrc 파일에 추가된 초기화 스크립트 때문이에요.

이 기본 설정은 Anaconda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편리할 수 있지만, 다른 환경에서 작업할 때는 불편함을 줄 수 있어요.


2️⃣ base 환경 자동 활성화 비활성화 방법

2.1 conda 명령으로 비활성화하기

  •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conda config --set auto_activate_base false

 

  • 이 명령은 ~/.condarc 파일에 설정을 추가하여 base 환경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지 않도록 해줍니다.
  • 설정이 적용되었는지 확인하려면:
conda config --show
  • auto_activate_base: false 항목이 포함되어 있어야 해요.

2.2 환경 변수 수동 수정하기

자동 활성화 설정을 수동으로 수정하려면 ~/.bashrc, ~/.zshrc, 또는 ~/.zprofile 파일을 직접 편집해야 해요.

1. 파일 열기

  • Zsh 사용자:
nano ~/.zshrc
  • Bash 사용자:
nano ~/.bashrc

 

2. 초기화 스크립트 주석 처리
아래와 같은 초기화 스크립트를 찾아 주석 처리하거나 삭제하세요.

# >>> conda initialize >>>
# !! Contents within this block are managed by 'conda init' !!
__conda_setup="$('/path/to/anaconda3/bin/conda' 'shell.zsh' 'hook' 2> /dev/null)"
if [ $? -eq 0 ]; then
    eval "$__conda_setup"
else
    if [ -f "/path/to/anaconda3/etc/profile.d/conda.sh" ]; then
        . "/path/to/anaconda3/etc/profile.d/conda.sh"
    else
        export PATH="/path/to/anaconda3/bin:$PATH"
    fi
fi
unset __conda_setup
# <<< conda initialize <<<

 

3. 수정 내용 저장

  • 주석 처리하거나 삭제한 후, 저장하고 나옵니다.

4. 파일 재적용
수정한 파일을 적용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 Zsh 사용자:
     
source ~/.zshrc
  • Bash 사용자:
source ~/.bashrc

 


3️⃣ 수동으로 base 환경 활성화 및 비활성화

1. base 환경 활성화

  • 필요할 때만 base 환경을 활성화하려면:
conda activate base

2. base 환경 비활성화

  • 작업을 마치고 base 환경을 종료하려면:
conda deactivate

4️⃣ 설정 확인 및 테스트

1. 설정 확인

conda config --show 명령을 입력해 설정을 확인하세요.

  • auto_activate_base: false 항목이 표시되면 성공적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2. 터미널 재시작

터미널을 닫았다가 다시 열어 base 환경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지 않는지 확인하세요.


5️⃣ 추가 팁: Anaconda를 더 깔끔하게 관리하는 방법

  • 필요한 환경만 관리
    • 여러 가상 환경을 생성하여 프로젝트별로 관리하세요.
conda create -n my_env python=3.9
conda activate my_env
  • 가상 환경 삭제
    • 사용하지 않는 가상 환경은 삭제하여 시스템을 깔끔히 유지합니다.
conda remove -n my_env --all

 

 

결론

Anaconda의 base 환경 자동 활성화를 비활성화하면 터미널이 더 간결해지고, 다른 작업 환경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요. 필요할 때만 수동으로 활성화하여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 않을까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